![](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P7iB2/btqCy46DRpK/0CXzSeg8Q0LXU2lCqpKFzK/img.jpg)
재난 기본 소득, 들어보셨나요? 코로나19 사태로 국민 경제 전반이 휘청거리면서 정부의 추경 예산에 대한 효율적인 지원과 관련하여 나온 제안 중 하나라는데요. 국민 누구에게나 최대 100만원을 지원한다는 게 기본안인 것 같습니다. 관행적으로 집행 되어 왔던 재난지원 추경 예산에 대해 한번 더 생각해 보게 하는 제안이네요. 사실 새로운 정책이란게 잘 따져보고 해야할 일이지만 우리나라 정도면 이런 정책도 과감하게 시도해 봐도 되지 않을까요. 코로나19 이후 전 세계가 우리나라의 공공 의료 체계를 다시 보게 된 것처럼 재난 이후의 상황을 빠르게 회복하기 위한 특단의 대책과 시도로 재난기본소득도 생각해 보았으면 하는데... 🚴🚴🚴🚴🚴🚴🚴🚴🚴🚴🚴🚴🚴🚴🚴🚴 🏁 2020. 3. 9. 날씨 맑음. 아침기온 3도. 🎉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fomH5/btqCvy0PbKC/A6A8tduyFDo0QeqRRSf3c1/img.jpg)
오늘까지 연속 5일 자전거 출근에 성공했습니다. 자출기도 계속 쓰고 있네요. 자출기라면서 자전거와 관련한 이야기가 있는게 아니라 온갖 잡스러운 이야기만 하는데도 지인들은 좋아요👍를 눌러주시니 더 부지런히 올려 봅니다. 오늘도 한강에는 많은 새들이 모여들었네요. 마포대교 주변은 밤섬이 있죠. 이곳은 사람의 출입이 통제되면서 지금은 세계적인 도심 철새 도래지가 되었다고 합니다. 이곳에 강물에 떠내려온 잡목과 자연스럽게 생긴 갯벌과 늪, 아무렇게나 자란 나무가 만든 숲이 철새들에게는 더 없이 좋은 서식지가 된 거죠. 그래서 마포대교나 여의도 한강둔치 등에서는 민물가마우지, 청둥오리, 흰뺨검둥오리 등을 볼 수 있다고 하네요. 보통은 11~12월이 탐조하기에는 가장 좋은 시기라는데 3월초인 지금도 새들이 저리 많..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wvO0x/btqCxO9rI75/KRalHrHce5KRsfhMCDvnJ1/img.jpg)
아침에 일어나 날씨를 확인하니 영하 5도? 순간 눈을 의심했죠. 잠이 덜 깼나? 꽃샘추위네요. 남녘에서는 꽃소식도 들려오건만 바람까지 초속 3m의 북서풍이 불어옵니다. 사실 자전거타기에는 좀 사나운 날씨죠. 그래도 명색이 경칩이라는데, 개구리도 깨어나는 시간인데... 그런 생각으로 오늘도 따릉이 타고 출근했습니다. 아침 라디오에서 겨울잠에 대한 이야기를 하던데요. 동물들이 겨울잠에 들면 대개 체온이 낮아지고 심장 박동이 느려지며 호흡도 가느다래진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 겨울잠에 드는 동안 상처가 난 부위 등은 오히려 빠른 회복 속도를 보인다고 하는데요. 아마도 몸이 다른 건 다 느려져도 상처난 곳에는 더 집중할 수 있기 때문일 거라는 설명을 하더군요. 어쩌면 우리 사회도 지금 뜻하지 않게 겨울잠에 들어가..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divR4s/btqCqN5h83q/a4EDbmEHbl96bRTezCg7lk/img.jpg)
마스크를 사기 위해 줄까지 서야할까? 마스크를 사려고 길게 줄 서 있는 사람들의 영상을 보면서 의문이 들었습니다. 저야 평소에도 유명한 맛집이라고 해도 한시간씩 줄 서서 먹는 건 죽어도 싫은 사람이라 이해되지 않을뿐더러 바이러스를 피하기 위해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장소를 피하라고 하는데도 불구하고 줄을 서는 사람들의 모습은 오히려 위험해 보이기까지 합니다. 그분들도 그것을 모르지 않을텐데 정부에 대한 불신과 위기감으로 인해 그와 같은 무모한 모험(?)을 하는 것이겠지요. 이런 마스크 대란을 정부가 예상하기는 어려웠을 수도 있지만 예측이 어려운 다양한 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하는 것도 정부의 중요한 역할일 겁니다. 이럴 때는 공권력의 강제력을 집행하는 것도 좋을법한데 하는 아쉬움이.... 사실 전 굳이 KF8..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GBjBf/btqCl89WMyh/1YvCcBcvO98LcckgMGw5NK/img.jpg)
날이 어째 더 춥네요. 아침 7시 기온은 심지어 영하 1도로 나왔는데, 코로나19보다 감기가 먼저 걸리것 같네요. 어제는 학교 선배 덕분에 간만에 고깃집을 갔네요. 코로나19 사태가 벌어지고 점심시간 빼고는 외식을 한 적이 다섯손가락으로 꼽을만큼 드뭅니다. 자연스럽게 사람들과의 만남도 줄어들고요. 경기 상황이 최악이라고 하는데 거리와 상가에서는 더욱 체감할 수 있는 상황이겠지요. 다행인지 화요일 저녁시간이지만 당산동 고깃집은 제법 시끌시끌하더군요. 빈자리가 많긴했지만 8시 넘어 단체 손님들(주로 2030)도 들어오고 활력이 좀 보였습니다. 3월부터는 다시 지리산 둘레길을 걷기로 했습니다. 한달에 한번씩 다시 도전해 보려고요. 이번달에 찾아갈 코스는 5구간(동강-수철)입니다. 이곳은 한국전쟁 당시 산청-함..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tErZ2/btqCl9t3fkK/AEk3f2FeKTKX7kCNz1kzsk/img.jpg)
그냥 감기가 아닐까? 감기도 매 계절마다 다른 인플루엔자가 영향을 미치는 건데. 특정인에게는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도 있는 것도 기존의 감기와 다를 바 없는데... 그냥 그런 생각도 합니다. 물론 우리나라는 그렇지 않지만 중국에서는 비교적 젊은 사람들도 사망에 이르게 했으니 그냥 감기라고 치부하기에는 좀 무리가 있죠. 모임과 집회를 좋아하는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이번 코로나는 잠시 사회적 거리두기의 시간이 될 것 같습니다 어쩌면 이 시간이 관계를 더욱 무르익게 해 줄 수 있는 시간이 되어주겠죠. 일상에 침입한 바이러스로 인해 우리는 잠시 헤어지지만 따스한 봄날이 오면 더 튼튼한 관계의 다리를 이어갈 겁니다. 우리는 그렇게 성장해 왔으니까요. 🚴🚴🚴🚴🚴🚴🚴🚴🚴🚴🚴🚴🚴🚴🚴 🏁 2020.3.2. 아침 기온 0도..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NABGs/btqwZ87aHAN/3xgIpeEkG4BgQ2yqO8MFV1/img.jpg)
얼마전에 대학 동기들 몇몇을 만난 적이 있습니다. 옛날 레코드를 틀어주는 생맥주 집에서 텅빈 맥주잔을 기울이면서도 말들이 끊이지 않습니다. 옛노래를 배경으로 옛 이야기들이 오고가고 추억에 젖어 살아온 삶의 실오라기들을 씨줄과 날줄로 엮어가면서 투박하게 술상 위에 펼쳐 놓습니다. 지나간 것은 아름답죠. 나름 두루두루 동기들과 인맥이 연결되어 있어 아는 척도 잘하고 다닙니다. 동기들은, 제가 그럴 수 있었던 이유로 그 수많은 연애 사건들에 휘말리지 않고 거리를 두었기 때문이며, 누구하고도 연애를 하지 않았던(사실 못했던) 대학 생활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하더군요. 청춘 남녀가 모인 대학에서 사랑에 빠지지 않은 자는 유죄죠. 그 죄의 대가를 지금 받는 건지도 모르지만... 한번 쌓인 오해는 시간이 갈수록 찌든..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lLF2z/btqwBXstqxo/1b2W0IRgiasFoVTKANDYH0/img.jpg)
2019.7.8. 안양천변에 있는 구일역 밑으로는 철교를 지나는 전철의 덜컹거리는 소리와 김포공항을 찾는 비행기들이 고도를 낮추면서 지르는 엔진음으로 시끄럽다. 거기에 급하게 꺾이는 도로에서는 간간히 체인 돌아가는 소리를 내며 자전거들이 합세한다. 두 소음에 비하면 별거 아니지만 지난 토요일 저녁에는 달랐다. 여러 소음을 뚫고 응급센터와 통화하는 사람들의 목소리가 다급하게 들렸다. 가족과 함께 토요일 저녁 집을 나서 철산상업지구까지 안양천변 길을 따라 산책을 나섰다가 돌아오는 길이었다. 구일역 철교 밑에 사람이 쓰러져 있었다. 이미 4~5명의 사람들이 쓰러진 사람 주변에서 그의 상태를 살피고 있었고, 일부는 응급센터와 통화를 하는 듯했다. 나도 도울 것이 있을까 해서 다가갔지만 별다른 의료 지식이 없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