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어느날 집안 문과 문 사이에서 민서와 숨바꼭질 놀이를 할 때였다. 잠시 얼굴 감추었다가 표정을 우스꽝스럽게 하고 나타나 "깍꿍"해 주면 민서는 환하게 웃어준다. 이럴 때가 좋다고들 한다. 심심하고 유치하고 말도 안되는 장난에 아이가 활짝 웃어주는 이때. 그렇다, 지금을 즐겨야 하는 이유다. 먼 훗날 아이 교육비가 어떻게 간식비가 어떻고, 학비가 어떻게 하면서 따지면서 걱정할 때가 오겠지만, 지금 이 시절을 잊지 않고 살고 싶다.
언제까지 민서와 숨바꼭질로 이렇게 넘어가듯 웃을 날이 오겠는가. 오늘이 지나면 오늘은 다시 오지 않는 것. 삶의 의미는 오늘 하루하루 매일같이 내가 살아가야 할 이유를 발견하며 사는 것이다.
- 민서의 요즘 사는 이야기
민서는 요새 들어 얼굴에 무언가가 나기 시작했다. 열이 있거나 보채거나 하는 기미는 별로 없어서 큰 문제는 아니겠지 싶은데, 오는
수요일 병원 검진이 있으니 그때 의사에게 자세한 이야기를 들을 참이다. 생각컨데, 아마 한창 이유식을 먹이고 있는 가운데 들어간
재료에서 나오는 알러지 반응이 아닐까 싶다. 우선 하군(민서엄마)이 잘 먹고 있는 이유식의 일부 재료를 한번더 꼼꼼이 점검해
보기로 했다.
10개월에 진입하는데 여전히 이가 나오고 있지 않다. 이른둥이인만큼 상대적으로 이가 늦게 나올 수도 있고, 또 일찍 나온다고 좋은 것만은 아니니 느긋하게 기다려 본다.
무언가에 기대어 혼자 서는 건 아주 잘하고 있다. 무언가를 잡고 서 있다가 의도적으로 놓고 두 발로만 서는 연습을 혼자서 틈틈이 한다. 호기심이 왕성하고 활동력도 좋은데다가 잘 먹고 잘 싸고 있어서 이가 좀 늦게 나오지만 그래도 건강히 잘 크겠다는 믿음이 간다. 아마 돌 때 되면 걷지 않을까.
돌잔치를 할 것인가를 놓고 주변분들과 의논하고 하군과도 여러번 상의해 봤는데 마땅히 답이 나오질 않았다. 그러다가 문득 돌잔치의 주인공 생각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물론 아직 한살도 되지 않은 아이가 무슨 결정을 할 수 있을까 했는데, 우연도 필연의 일종이다는 생각에 민서 앞에서 약식 돌잡이를 했다. 민서가 오른쪽의 금수저를 잡으면 돌잔치를 하고 왼쪽의 은수저를 잡으면 안한다는 식이었다. 이런 식의 의사 결정을 3가지로 나누어서 진행했고, 최종적으로 2:1의 숫자로 돌잔치는 안한다로 민서가 결정했다.
사실 돌잔치는 돈잔치가 된지 오래다. 아이가 귀해지면서 돌잔치는 어느 정도의 규모로 하느냐가 그 집의 살림규모로 비교되고, 또 정작 주인공인 아이와 부모는 피곤에 지쳐 쓰러지기 쉽상이다. 물론 아이와 관계된 분들에게 덕분에 아이가 1년동안 무탈하게 잘 컸다는 인사자리의 의미가 크겠지만 그런 의미에서 잔치까지는 피곤할 뿐이다. 틈틈이 지인들과의 자리에 아이를 인사시키는 게 더 의미있다.
따라서 돌잔치 때 민서 보러 오겠다는 분들에게는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다. 그러나 다른 기회를 통해 민서를 인사시키겠다는 약속을 드린다.
10개월에 진입하는데 여전히 이가 나오고 있지 않다. 이른둥이인만큼 상대적으로 이가 늦게 나올 수도 있고, 또 일찍 나온다고 좋은 것만은 아니니 느긋하게 기다려 본다.
무언가에 기대어 혼자 서는 건 아주 잘하고 있다. 무언가를 잡고 서 있다가 의도적으로 놓고 두 발로만 서는 연습을 혼자서 틈틈이 한다. 호기심이 왕성하고 활동력도 좋은데다가 잘 먹고 잘 싸고 있어서 이가 좀 늦게 나오지만 그래도 건강히 잘 크겠다는 믿음이 간다. 아마 돌 때 되면 걷지 않을까.
돌잔치를 할 것인가를 놓고 주변분들과 의논하고 하군과도 여러번 상의해 봤는데 마땅히 답이 나오질 않았다. 그러다가 문득 돌잔치의 주인공 생각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물론 아직 한살도 되지 않은 아이가 무슨 결정을 할 수 있을까 했는데, 우연도 필연의 일종이다는 생각에 민서 앞에서 약식 돌잡이를 했다. 민서가 오른쪽의 금수저를 잡으면 돌잔치를 하고 왼쪽의 은수저를 잡으면 안한다는 식이었다. 이런 식의 의사 결정을 3가지로 나누어서 진행했고, 최종적으로 2:1의 숫자로 돌잔치는 안한다로 민서가 결정했다.
사실 돌잔치는 돈잔치가 된지 오래다. 아이가 귀해지면서 돌잔치는 어느 정도의 규모로 하느냐가 그 집의 살림규모로 비교되고, 또 정작 주인공인 아이와 부모는 피곤에 지쳐 쓰러지기 쉽상이다. 물론 아이와 관계된 분들에게 덕분에 아이가 1년동안 무탈하게 잘 컸다는 인사자리의 의미가 크겠지만 그런 의미에서 잔치까지는 피곤할 뿐이다. 틈틈이 지인들과의 자리에 아이를 인사시키는 게 더 의미있다.
따라서 돌잔치 때 민서 보러 오겠다는 분들에게는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다. 그러나 다른 기회를 통해 민서를 인사시키겠다는 약속을 드린다.
반응형
'구상나무 아래에서 > 하늘을 여는 아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서의 가을 나들이 (1) | 2010.11.08 |
---|---|
여행, 가족, 연민에 대하여 (2) | 2010.10.25 |
민서가 이렇게나 컸네요. (2) | 2010.08.19 |
머리 깎은 민서 (4) | 2010.06.28 |
민서의 셀프 스튜디오 나들이 (10) | 2010.06.21 |
댓글